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oj15654
- DFS
- BFS
- Spring
- mysql
- springboot
- TDD
- bruteforce
- backtracking
- onTouch
- 동적계획법
- DP
- onTouchListner
- boj10775
- testdb
- boj_15685
- nestedjson
- boj15683
- boj2239
- DynamicProgramming
- boj15998
- boj10942
- euclideanalgorithm
- boj15954
- BOJ
- boj_15684
- boj2252
- react
- boj7579
- django
- Today
- Total
이마닷의 블로그
[BOJ] 2643:색종이 올려 놓기 본문
0.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643
1. 문제분석
- 이 문제는 색종이들을 쌓아올렸을 때, 해당 색종이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느냐 없느냐의 여부가 여태까지 쌓아올린 색종이 더미 중 가장 위에 있는 색종이의 가로 세로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즉, 현재의 경우가 직전의 경우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을 사용해서 문제를 풀어야 했다.
- 또한 색종이들을 경우에 따라 사용 가능한 최대량의 색종이들을 사용해야 하므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보는 완전탐색이 필요하다. 즉, 매 경우마다 가능 여부를 파악한 뒤 탐색이 더이상 불가능할 때까지 탐색을 이어가야 하므로, 깊이우선탐색(DFS)을 사용해야 했다.
2. 유의할 점
- 색종이를 90도씩 회전할 수 있으므로, 직사각형인 각 색종이는 원래 모양, 가로 세로가 바뀐 모양, 총 두 모양으로 사용 가능하다. 처음에는 이를 2차원 dp 배열로 구현하려 하였으나, 입력 단계에서 해당 색종이를 가로 세로가 바뀐 모양으로 한번 더 입력시켜 주어 각 경우를 독립된 경우로 설정하였다. 이 때문에 각 색종이에 대한 방문여부 체크 시, 해당 색종이를 회전시킨 경우에 대해서도 방문여부를 true로 체크해 주어 두 경우가 동시에 접근될 수 없도록 하였다.
- 최초값을 반환하는 경우는 bool형의 flag변수를 지정하여 한번도 또다른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를 잡아낸 후, 이 때에 1값을 반환해주도록 설정하였다.
3. 소스코드(C++)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string>
#include <cstring>
#define endl '\n'
#define INF 987654321
using namespace std;
typedef pair<int, int> ii;
int n, ans = 0;
vector<ii> paper;
vector<bool> vtd;
int dp[200];
int go(int now) {
int& ret = dp[now];
if (ret != 0) return ret;
bool flag = true;
int now_pair = (now % 2 == 0) ? now + 1 : now - 1;
vtd[now] = vtd[now_pair] = true;
for (int i = 0; i < paper.size(); i++) {
if (vtd[i]) continue;
if (paper[i].first <= paper[now].first &&
paper[i].second <= paper[now].second) {
ret = max(ret, go(i));
flag = false;
}
}
vtd[now] = vtd[now_pair] = false;
if (flag) {
return ret = 1;
}
return ret += 1;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int ww, hh;
cin >> n;
while (n--) {
cin >> ww >> hh;
paper.push_back({ ww,hh });
vtd.push_back(false);
paper.push_back({ hh,ww });
vtd.push_back(false);
}
for (int i = 0; i < paper.size(); i++) go(i);
for (int i = 0; i < paper.size(); i++) {
ans = max(ans, dp[i]);
}
cout << ans;
return 0;
}
4. 여담
- 어려워보였으나 생각보다 쉽게 풀렸다. dfs에 스스로 많이 적응된 듯 하다.
- 방문하지 않은 모든 노드를 항상 다 살펴보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초과가 날 줄 알았는데, 노드 개수가 적어서 dfs가 가능했던것 같기도 하다.
- KOI 초등부 문제는 대체로 구현은 까다로운 대신, 데이터의 크기가 많지 않은 듯 하다. 구현이 복잡하고 어렵게 만드는 대신, 오기로 깡으로 노가다로 풀면 되는 문제가 은근 있는 것 같다.
'problem-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2865:평범한 배낭 (0) | 2020.12.08 |
---|---|
[BOJ] 2573:빙산 (0) | 2019.09.29 |
[BOJ] 2116:주사위 쌓기 (0) | 2019.09.22 |
[BOJ] 1162:도로포장 (0) | 2019.09.07 |
[BOJ] 1194:달이 차오른다, 가자. (1) | 2019.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