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mysql
- Spring
- boj_15684
- testdb
- boj10775
- BOJ
- DynamicProgramming
- boj15683
- django
- bruteforce
- onTouch
- springboot
- boj7579
- boj10942
- boj_15685
- boj15654
- TDD
- boj2252
- BFS
- nestedjson
- react
- onTouchListner
- euclideanalgorithm
- boj15998
- boj15954
- backtracking
- boj2239
- DP
- 동적계획법
- DFS
Archives
- Today
- Total
이마닷의 블로그
[TIL] 240611 본문
Dockerfile 명령어
FROM
FROM {imageName}:{image tag}
- 현재 만들고자 하는 도커 이미지의 base image를 가져오는 명령어
- remote 이미지일 경우, 해당 registry의 주소도 같이 적어주어야 함
- local 이미지일 경우,
--platform={image platform} {image name}:{image tag}
- image platform은
docker inspect --format='{{.Os}}/{{.Architecture}}' {image name}
을 통해서 알 수 있음 - ex) --platform=linux/amd64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0481225/how-can-i-use-a-local-image-as-the-base-image-with-a-dockerfile]
- image platform은
WORKDIR
cd
는 쉘 명령어이므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 즉 워킹 디렉토리를 지정하려면 해당 명령어를 사용
RUN
COPY
ENV
USER
docker 명령어
docker 이미지 빌드
docker build {options} {dir}
- Dockerfile로 이미지 빌드
- options
-t {imageName}:{imageTag}
-f
: build 시 사용할 Dockerfile 이름--progress=plain
: 전체 빌드 프로세스의 로그를 볼 수 있음.echo
등의 명령어 사용으로 콘솔에 찍히는 값도 확인 가능--no-cache
: 캐시없이 처음부터 빌드. 기본 값은 캐시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해당 옵션을 쓰면 빌드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 dir
- 빌드를 실행할, Dockerfile이 위치한 디렉토리. 현재 위치일 경우
.
을 사용
- 빌드를 실행할, Dockerfile이 위치한 디렉토리. 현재 위치일 경우
docker tag {image name}:{image tag} {new image name}:{new image tag}
- 기존에 가지고 있는 이미지의 이름과 태그를 바꿀 수 있음
docker registry
docker login {registry url} --username={username}
docker push {registry base url}/{project name}/{image name}:{image tag}
- 레지스트리에 이미지 푸시. 이미지 이름이 하나의 레포지토리가 된다
docker image로 컨테이너 빌드
docker run -dit {image name}:{image tag}
linux commands
symbolic link
ln -s {source} {dist}
dnf
- linux redhat 계열 OS에서 기존
yum
명령어의 개선판으로 등장한 명령어 - 기본적인 사용법은
yum
과 동일dnf -y install {package}
- 설치 전 파일 크기를 보여주고 설치 여부를 묻는데, 이 때 -y 옵션을 걸면 물어보지 않고 무조건 실행
- ex)
dnf install -y python
: python 패키지를 설치
tar -xvf {filename}
- 압축 파일 해제 시에 사용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40701 (0) | 2024.07.01 |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