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닷의 블로그

[spring] springboot test (draft) 본문

java + kotlin

[spring] springboot test (draft)

움나나움 2020. 12. 20. 17:20

SpringBoot를 활용해 TDD(Test Driven Development) 방식의 개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test 코드의 작성이 필요하다. test 코드는 보통 src/test/java 디렉터리 하에 작성되며 여러 가지 annotaion과 객체들을 사용해 이루어진다.

 

1. Test 클래스 생성을 위한 기본적인 annotaion

- @RunWith : junit에서 단위 테스트 시 사용할 runner를 설정하는 어노테이션으로, 스프링 부트에서는 스프링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pringRunner를 사용하기위해 사용한다.

- @SpringBootTest : 스프링부트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으로, properties(테스트에서 사용될 프로퍼티들을 key=value 형태로 입력), classes (테스트 할 클래스 등록. 생략 시 모든 빈 생성), webEnvironment(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웹 관련 환경설정) 등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package com.project;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RunWith(SpringRunner.class)
@SpringBootTest(classes=ObjectController.class,
                properties = {},
                webEnvironment = SpringBootTest.WebEnvironment.RANDOM_PORT)
class ProjectApplicationTests {

    @Test
    void contextLoads() {
    	...
    }

}


2. MockMvc

보통 웹 환경에서 controller를 테스트하려면, servlet container가 구동되고 DispatcherServelet 객체가 메모리에 올라가야 하지만, 서블릿 컨테이너를 모방(mock)하여 테스트용 모형 container를 사용한다면 보다 간단하게 테스트를 할 수 있다. MockMvc는 이러한 보다 간단한 테스트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내장된 tomcat 서버는 구동되지 않는다.

 

- @WebMvcTest : @Controller, @RestController가 설정된 클래스들을 찾아 메모리에 올리지만 @Service나 @Repository가 붙은 클래스는 메모리에 올리지 않는다.

 

3. 내장 Tomcat 서버를 사용해 테스트하기

 

- TestRestTemplate


[참고] 채규태 - 스프링부트 퀵스타트

'java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test 환경 분리하기  (0) 2021.01.11
[spring] Nested JSON 만들기  (1) 2020.12.25
[spring] java-spring 기본 개념  (0) 2020.07.2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