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닷의 블로그

linux shell 기본 명령어 본문

devOps + infra

linux shell 기본 명령어

움나나움 2019. 8. 26. 19:34

 

온라인 IDE를 제공하는 구름IDE

현재 Windows 환경에서 공부를 하고 있기 때문에 본 글에서는 구름 IDE(https://ide.goorm.io/)라는 온라인 IDE를 사용한다

쉘(Shell)은 터미널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OS(운영체제)에게 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1. pwd

pwd는 현재 경로를 확인해주는 명령어이다. Print Working Directory의 줄임말이다.

현재 위치의 경로는 root > d1 > d2 > d3 이다.

 

2. cd

cd는 디렉토리(폴더)를 이동하는 명령어다. 보통 "cd 디렉토리명"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고, 디렉토리명의 자리에 ".."을 사용한다면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된다. 

"cd d1", "cd d2" 등을 통해 하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을 이용해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3. ls

ls는 현재 위치의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들을 보여준다. 구름 IDE에서는 하위 디렉토리는 파란색으로, 파일은 흰색으로 나타난다. 뒤에 '-la'라는 옵션을 덧붙여주면, 권한, 생성 날짜 및 시간 등의 정보를 함께 보여준다.

 

4. mkdir 

mkdir은 make directory, 즉 말 그대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다.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위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mkdir 새디렉토리명"의 형식으로 사용한다.

mkdir 명령어를 통해 d1 디렉토리를 만들어 준 이후에야 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5. touch

touch는 현재 디렉토리 위치에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 준다. "touch 새로운파일명"의 형식으로 사용한다.

 

6. cat

cat은 concatenate(이어붙이기)를 뜻하는 명령어로, 해당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게 해준다. "cat 파일명"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7. cp

cp는 copy를 뜻하는 명령어로,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다. "copy 파일명1 파일명2"의 형식으로 사용하는데, 파일명1에 해당하는 파일을 파일명2의 이름으로 복사해 저장한다. 아래 예시에서의 './'는 현재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상대경로이며, 상위 경로를 나타내는 경우, '../'로 나타낸다. 상대경로의 기준은 항상 현재 위치('./')이다.

d1의 now_created.txt를 d2로 복사해 copied.txt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했다.

 

8. mv

mv는 move를 뜻하는 명령어로, 단순 디렉토리의 이동 뿐 아니라, 파일의 이름을 변경할 수도 있다. "mv 파일명1 파일명2"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한다. 

d1의 now_created를 d2로 이동하면서 moved.txt로 이름을 바꿔주었다.

 

9. rm

rm은 remove를 뜻하는 명령어로, "rm 파일명"의 형식으로 사용하며 해당 파일을 삭제해준다. 디렉토리 삭제의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 삭제는 불가능하고, "rm -rf 디렉토리명"과 같은 형식으로 '-rf' 옵션을 추가해 줄 때만 삭제가 가능하다.

 

10. vi 

vi는 vi 편집기를 사용하는 명령어로, "vi 파일명"과 같은 형식을 사용하여 vi 편집기를 통해 해당 파일에 접근해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vi 편집기 첫 화면에서 'a'를 누르면 내용 수정 모드로 전환되며, 수정 이후에는 ESC키를 누른 후, 콜론(':')을 누른 뒤 'wq' 명령어를 입력하면, 수정된 내용을 저장한 후 vi 편집기 모드를 빠져나올 수 있다. 만약 저장하지 않은 채 나오고 싶다면, 'q!'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vi 편집기를 통해 test.txt에 접근한 후, 내용 수정 후 'wq'명령어로 vi 편집기를 빠져나왔다.

'devOps +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ver Cloud Platform으로 서버띄우기  (0) 2020.12.2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