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boj15998
- boj15954
- testdb
- euclideanalgorithm
- boj_15685
- react
- boj2252
- boj10942
- boj_15684
- django
- DP
- boj15654
- mysql
- BFS
- boj15683
- boj10775
- Spring
- TDD
- onTouch
- BOJ
- boj7579
- nestedjson
- DynamicProgramming
- backtracking
- springboot
- bruteforce
- onTouchListner
- DFS
- 동적계획법
- boj2239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loudComputing (1)
이마닷의 블로그

이번 토이 프로젝트는 기존에 많이 썼던 AWS 대신 naver cloud platform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사용해 서버를 구성하기로 했다. 생각보다 aws로 하던 것과 크게 차이는 없어서 나름 손쉽게 서버를 띄울 수 있었다. 1. ComputeNcloud에서는 AWS의 EC2를 비롯한 여러 서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아울러서 Compute/Server라는 하나의 서비스 안에서 제공하며, 서비스를 다루는 콘솔에서도 Server 탭 하나만 존재한다. pem 파일을 사용하고, OS, cpu, 저장장치 등을 선택하는 옵션이 있다는 점도 AWS와 동일하다. AWS에서는 관계형 DBMS 기반의 DB 서버를 띄울 때는 RDS, 메인서버를 띄울 때에는 EC2라는 별도의 서비스를 사용했었지만, n..
devOps + infra
2020. 12. 25. 22:13